오랫동안 전립선염 치료를 위해 비뇨기과에 다니던 30대 남성의 하소연이었다. 환자의 말에 의하면 약을 먹는 동안에는 증상이 호전됐다가 약만 끊으면 얼마 지나지 않아 곧 다시 재발해 병원을 찾는 패턴이 반복됐다는 것. 그러다보니 환자는 전립선염 치료에 몸도 마음도 지쳤 있었다. 이에 그는 혹시나 하는 의구심에 한의원을 찾게 된 것.
그렇다면 한방과 서양 의학에서 전립선염을 치료하는 방식은 어떻게 틀릴까?
무덥고 습한 여름철 방안에 곰팡이가 생겼다고 가정하자. 곰팡이는 전립선염을 일으키는 요인이다. 병원에서 하는 치료는 우선 곰팡이의 종류를 분류하고 균 제거를 위한 화학구조식을 만든 다음 약을 만들어 제거한다. 반면 한방치료는 습기가 근본적인 원인이므로 습기 제거를 위해 방안에 쑥을 태운 연기를 피우고 방에 불을 지핀다. 이는 곰팡이 제거와 근본적인 습기 차단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전립선염 치료의 초기에는 병원에서의 검진과 치료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균의 정도와 백혈구, 전립선액의 검사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비교적 정확히 알고 처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전립선염이 재발해 만성이 되는 경우가 있다. 비뇨 생식계에 면역력이 크게 떨어져 잡균이 있어도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실제로 전립선염에서 세균성 환자는 10% 밖에 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환자가 세균 및 염증이 없는데도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잦은 재발이 나타나는 만성 전립선염 환자들은 기존 치료와 함께 한방 치료를 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병원에서 쓰는 소염제와 진통제와 함께 한방으로는 잡균을 잡고 면역력을 키워주는 치료를 병행하면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서양 의학과 한방의 치료방식은 질환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이므로 치료 면에서는 두 방면 모두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치료에 대해 좀 더 넓은 시야를 갖는다면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