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금
이 정보내용은 청소년유해매체물로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청소년 보호법에 따라 19세 미만의 청소년이 이용할 수 없습니다.
19세 미만 나가기
성인인증
  • 바나나몰 회원이 아니시면 아래의 2가지 방법 중 한가지로 성인인증을 받으셔야 합니다.
  • 성인인증에 어려움이 있으시면 1577-9848로 연락주세요.
마녀의 유혹2
성인용품 바나나몰 랭키닷컴 기준 매년연속 1위
사각지대에 놓인 대학생 성교육
사각지대에 놓인 대학생 성교육

" 나는 어떻게 태어났어요?"라는 어린아이의 질문에 "어른이 되면 알게 된다"는 엄마의 대답. 이것이 정답처럼 자리 잡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성은 으레 '나이를 먹으면 알게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20살을 넘긴 성인이 되어서도 성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대학생들이 적지 않다. 성 지식뿐 아니라 성 의식 확립에서도 대학생들은 갈피를 잡지 못한 채 휘청거리고 있다.

"대학가의 성 문화는 생각보다 훨씬 충격적이었다."

새 내기 시절을 회상하며 얼굴을 붉히는 여대생 이모(22)씨. 이씨는 "미팅에서 게임에 질 때마다 상대방이 단순한 재미 차원을 넘어 뽀뽀나 러브샷 같이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벌칙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또 "친목을 다지자는 취지로 가는 엠티에선 취기 오른 선배들이 신체 접촉도 서슴지 않았다"고 밝히고 "싫다고 하면 보수적인 사람으로 보일 것 같고 그렇다고 받아들이자니 괴로웠다"고 털어놓았다.

@BRI@이에 대해 A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강모(21)씨는 "(미팅이나 엠티에서) 여자들도 재미 볼 거 다 봐놓고 나중에 가서야 '당했다, 성희롱이다' 왈가왈부하는 건 피해망상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 제는 성인이니 알 것은 다 알리라는 기대와 달리, 대학생들은 혼란스럽기만 하다. 새롭게 접하는 대학의 성 문화에서 올바른 성 지식과 성 의식을 가르쳐 주는 곳은 없기 때문이다. 중고등학교 때는 입시 때문에 성 교육이 뒷전으로 밀리고, 대학에 와서는 성인이니 알아서 하라는 한국 사회 관행이 그 이유다.

"대학 입학 후 학문적인 지식은 머리에 차곡차곡 쌓여가는데 성에 관해서는 아직도 망망대해를 떠다니는 느낌이다." B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인 이모(24)씨의 말이다. 이씨는 "대학가의 성 문화는 날로 개방되고 있지만 정작 그 주체인 대학생들은 아직도 혼란스러워한다"고 말했다.

대학생, 성 지식 어디서 얻나

대 학생들이 성 지식을 얻는 통로에는 한계가 있었다. 필자들은 지난 8월 1일부터 열흘 동안 동국대, 숙명여대, 연세대, 중앙대, 홍익대 대학생 296명(남학생 146명, 여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 조사에서 어떤 방법을 통해 성 지식을 얻느냐"는 질문에 '인터넷'(38.2%, 113명)이나 '친구나 선배'(33.1%, 98명)를 통해서라는 대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부정확한 정보가 오가는 비공식적인 통로가 대학생들의 '성교육 강의실'이 된 셈. 반면 '학교 교육을 통해 얻는다'는 응답자는 5.7%(17명)에 불과했다. 이화여대에 다니는 최지은(20)씨는 "인터넷에서 얻은 단편적인 지식들이 정확한 건지 아닌지 모르겠다"고 했다. 숭실대에 재학 중인 정성범(24)씨도 "친구들이랑 만나면 인터넷에서 본 것 가지고 이게 맞네, 저게 맞네 하고 있다"고 밝히고 "친구나 선배를 통해 얻는 지식도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대 학생의 대다수가 인터넷, 친구나 선배를 통해 성 지식을 얻는 것에 대해 인구보건복지협회의 성 상담 전문가 오세의씨는 "그릇된 성지식을 사실이라고 오해할 수 있다"고 말하고 "그뿐 아니라 올바른 가치관이 정립되기 전에 인터넷 등에 떠도는 자극적이고 어두운 성을 먼저 알게 되어 성에 대해 수치스러워하게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성 의식도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건 마찬가지. "현재 우리나라 대학생의 올바른 성의식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58.1%가 '낮다', '매우 낮다'고 답해 대학생 스스로 자신들의 성 의식 수준에 낙제점을 주고 있었다.

입시 그늘에 가려진 성 교육

대 학생들이 성에 무지한 이유 중 상당 부분은 중고등학교 때 제대로 된 성 교육을 받지 못한 데서 비롯됐다. 당장 발등에 떨어진 입시 불을 끄는 데 급급해 성 교육은 뒷전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외대에 다니는 김형철(23)씨는 "중고등학교 때 성교육은 '수박 겉핥기 식'이었다"고 술회했다. "어쩌다 한 번 비디오를 보여주는 게 전부였고 수능에 나오는 과목의 수업에 비하면 얼렁뚱땅 넘어갔다"고 덧붙였다.

교육인적자원부(아래 교육부)에서는 초중고교 성교육 시간을 한 학년에 10시간 내외로 권장하고 있다. 성 지식, 양성 평등의식, 성 희롱, 성 폭력, 성 매매 예방 등 전 분야에 걸친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지난 8월 서울 소재 10개 고등학교의 성교육 실태를 알아본 결과 '한 학년 당 10시간'의 교육 방침을 지키고 있는 학교는 단 한 곳도 없었다.

S고등학교의 한 보건교사는 교육부 방침에 대해 "입시 중심의 수업 때문에 성 교육 시간 확보가 매우 어렵다"고 말하고 "한 학년에 한두 시간 확보하는 것도 전쟁"이라고 토로했다. 밝은청소년지원센터 학교팀장 이학씨는 "짧은 시간 안에 성 지식을 전달하기도 바쁘기 때문에 올바른 자아정체감이나 성의식을 형성하는 것까진 꿈도 못 꾼다"고 말했다. "성 교육 할 시간에 국영수 한 자라도 더 봐서 수능 1점이라도 더 따려는 게 현실인데 이런 교육 아래서 자란 대학생들이 성에 대해 제대로 알 리가 있겠느냐"고 오세의씨는 이야기했다.

교육부의 무관심 속에 방치된 대학 성 교육

혼 란스러운 학생들을 이끌어 줄 곳은 대학에 와서도 존재하지 않는다. 교육부의 권고 사항인 성교육 방침이 초중고교 학생들에게만 적용되기 때문이다. 대학생들의 성교육은 학교 재량에 맡겨진다. 교육부의 한 교육행정주사는 "대학생은 성인이므로 자율적으로 성교육을 해야 한다고 간주해 교육부에서 마련한 성교육 방침이 전혀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교육부와 대학생 성 교육과는 거리가 있다"고 덧붙였다.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성 희롱, 성 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규정만 있지만 이 또한 모호하다. 교육기관은 의무적으로 교육을 실시해야 하지만 교직원과 학생 등 구성원에게는 교육을 받는 것이 필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서울대학교 성희롱성폭력상담소의 하혜숙 전문위원은 "(법에) 교육을 하라는 의무만 있고 받으라는 의무는 없으니 모순이 생긴다"고 말하고 "그렇기 때문에 성 희롱, 성 폭력 예방 교육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학교, 학생 모두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성 교육이 필수 과목이 되면 좋을 것이다. 살아가면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이고, 대학까지 왔을 정도의 지적인 수준이나 연령을 보면 한 번은 꼭 짚을 과제이기도 하다." (정유성 서강대 사회교육과 교수)

대 학생들 역시 성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대학생 296명의 설문 응답 중 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대답이 82.1%(243명)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 가운데 88.9%(216명)는 성 교육 강의를 듣고 싶다고 하였다. 오세의씨는 "학교로 특강을 나가보면 대학생들의 반응이 가장 좋다"고 말하고 "학생들끼리 돈을 얼마씩 걷어서 특강을 여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이야기했다.

하 지만 정작 대학 내에서 성 교육 관련 강의나 특강을 찾아보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정유성 교수는 "교육부의 방침도 없는데다 대학 당국은 학생들이 필요한 교양 교육보다는 전공 지식을 가르치는 데 치중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하고 "학교와 학생의 이해가 상충되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성 교육 관련 강의 자체가 부족할 뿐 아니라, 개설돼 있더라도 인기 수업이라 듣기 힘들다는 게 학생들의 말이다. "성 교육 수업을 들으려고 했지만 수강 인원이 다 차버려서 놓쳤다"는 한 학생은 "다음 학기를 노려볼 계획"이라고 대답했다.

교수들도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 이화여대 의예과의 정혜원 교수는 "대학생들은 피상적인 교육이 아니라 실질적인 성 교육을 받아야 하지만 연구와 전공 수업을 병행하는 교수들이 새로운 내용의 수업을 만드는 게 쉽지 않다"고 말했다. "강의 개설 등 대학 차원에서 마련해둔 바탕도 없는 상황에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기엔 무리가 따른다"는 설명. 정유성 교수는 "누가 가르칠 것인지도 문제"라고 했다. "성 교육이란 성 지식만 가르치는 게 아닌 만큼 심리, 사회 등 각 분야 교수들이 모여 가르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서로 바쁘고 시간 맞추기도 어렵다"고 현실적 어려움을 토로했다.

대학에서 성 교육 접할 기회 많아져야

통 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대학진학률은 80%를 넘었다. 대학은 고급 인재를 위한 학문의 전당이 아니라 대중 교육기관으로 변모했다. 이화여대 간호과학대의 하주영 교수는 "대학에서 중고등학교 때 정립된 기본적인 성 지식을 바탕으로 성에 대한 '토론의 장'이 열려야 한다"고 말했다. 하 교수는 "성은 개인적인 성향보다 사회문화적인 교육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고 말하고 "제대로 된 성 교육이 대학에서마저 이뤄지지 않는다면 성 범죄 등 사회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 학생들은 성인기의 시작점에 있다. 신체적으로 성 호르몬이 최대에 도달하고 정서적으로는 이성에 대한 관심이 극대화된다. 이 시기에 바람직한 성 교육을 접한다면 교육 내용을 능동적이고 효율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이 교육자들의 생각이다.

취재를 위해 만난 교육자들은 고등학교 때까지 성 교육이 금지 사항 위주로 교육되는 '네거티브 캠페인(negative campaign)'이라면, 대학에서는 성을 긍정적이고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포지티브 캠페인(positive campaign)'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대학생들이 이러한 교육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서울대 성희롱성폭력상담소의 하혜숙 전문위원은 "우리나라의 교육 환경상 청소년기가 대학까지 유예되며 중고등학교 때는 자아나 성의식 형성을 고민할 기회가 제대로 없다"고 말하고 "그렇기 때문에 중고등학교 때 성 교육보다 대학에서의 성 교육이 더 중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 위원은 "대학의 성 교육은 잘못 형성된 의식을 바로잡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강조했다.
현재 페이지 6/11 총게시물 1,068개
입금계좌 안내
농협 301-0338-5735-81 국민은행 267337-04-006506
예금주 주식회사 비앤앤컴퍼니